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DBMS
데이터베이스(DB)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BMS(운영체제 : Linux, Unix, Windows 등)를 설치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MySQL, Oracle, MariaDB 등이 있다.
DBMS | 제작사 | 운영체제 | 최신버전 | 기타 |
MySQL | Oracle | Unix, Linux, Windows, Mac | 8.0 | 오픈 소스(무료), 상용 *언제 유료화 될지 모름 |
MariaDB | MariaDB | Unix, Linux, Windows | 10.6 | 오픈 소스(무료), MySQL 초기 개발자들이 제작함 *회사에서 많이 사용한다. |
PostgreSQL | PostgreSQL | Unix, Linux, Windows, Mac | 12 | 오픈소스(무료) |
Oracle | Oracle | Unix, Linux, Windows | 18c | 시장 점유율 1위 |
SQL Sever | Microsoft | Windows | 2019 | 주로 중/대형급 시장에서 사용 |
DB2 | IBM | Unix, Linux, Windows, Mac | 11 | 메인프레임 시장 점유율 1위 |
Access | Microsoft | Windows | 2019 | PC용 |
SQLite | SQLite | Android, iOS | 3 | 모바일 전용, 오픈소스(무료) |
DBMS의 분류
DBMS | 설명 |
계층형 | 트리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JAVA의 TreeSET과 비슷하다. |
망형 | 계층형 DMBS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관계형 | 9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테이블의 형식으로 저장한다. *테이블은 열과 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
*객체지향형, 객체관계형도 있다.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관계형 DBM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익혀야한다. SQL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SQL에 대한 표준을 정하여 발표하는데 이를 표준 SQL이라고 한다. 각 회사들은 표준 SQL을 준수하되, 각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SQL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프로젝트
소프트웨어를 작성하기 위한 전체 과정으로 현실의 업무를 컴퓨터 시스템에 옮겨 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폭포수 모델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의 개발 절차중 하나로 폭포처럼 각 단계가 진행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프로젝트 계획
- 업무 분석
- 시스템 설계
- 프로그램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폭포수 모델의 업무 분석, 시스템 설계 단계에 해당한다. 현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로 변환하기 위한 작업을 뜻한다.
*테이블의 구조를 미리 설계하는 것, 건축의 설계도를 그리는 과정과 비슷하다.
용어
용어 | 설명 |
데이터 | 하나 하나의 개별적인 정보를 뜻함 |
테이블 | 데이터를 저장 하는 표를 뜻한다. |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소를 뜻한다. |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혹은 소프트 웨어라고 한다. MySQL이 DBMS에 해당한다. |
열 | 테이블의 세로를 뜻함 |
열 이름 | 각 열을 구분하기 위한 이름이며, 열의 이름은 각 테이블 내에서 달라야한다. |
데이터 형식 | 열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 |
행 | 실질적인 데이터 |
기본키(PK) | 각 행을 구분하는 유일한 열을 뜻한다. (중복X, NULL값X)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 JOIN (0) | 2024.11.07 |
---|---|
SQL - 데이터의 형식 (0) | 2024.11.06 |
SQL - 기본 문법(데이터 변경) (0) | 2024.11.06 |
SQL - 기본 문법(SELECT) (4) | 2024.11.06 |
SQL - 기본 문법 (0) | 2024.11.05 |